10G 네트워크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 1500 바이트 MTU 로 계산하면 대략 초당 800,000 가까이 됩니다. 이것은 결국 패킷처리를 위해 CPU 오버헤드를 가져올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MTU 를 늘리면 될것 같습니다. 자 점보프레임인 9000 바이트로 늘리면 한번에 더 큰 패킷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구간이 이 MTU 값을 사용하지 않는다는데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1500 바이트 이내일 것이죠. 내부 네트워크라면 모르지만 인터넷 구간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힘들어집니다.
그래서 네트워크 어뎁터에서 채용하기 시작한 것이 TCP 세그먼테이션 오프로드 기능입니다. TSO 로도 불리기도 하죠. TSO 호환 가능 어뎁터는 커널상에서 아웃바운드 데이터에 대해 보다 큰 패킷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즉, 밖으로 패킷을 보낼때 데이터를 재-세그먼트 하여 작게 보내게 된다는 것이죠. 이것은 호스트 컴퓨터의 CPU 자원 사용면에서도 효율적이게 됩니다. TSO 외 GSO(Generic segmentation offload)도 있습니다. GSO 는 TCP 에만 한정을 두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전송에서만 동작하고 받는쪽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솔루션 형태의 하나로 LRO(Large Receive Offload) 가 있습니다.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한번에 Merge 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리눅스 기반의 10G 드라이버들이 이 LRO 를 넓게 채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이 오프로드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 좀더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OE(TCP offload engine)란 무엇인가?
자, 오프로드를 언급했는데 바로 오늘 제가 여러분들에게 설명드릴 MTU 이상의 크기가 이것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ethtool 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ethtool -k eth0
Offload parameters for eth0:
rx-checksumming: on
tx-checksumming: off
scatter-gather: off
tcp-segmentation-offload: off
udp-fragmentation-offload: off
generic-segmentation-offload: off
generic-receive-offload: on
large-receive-offload: off
rx-vlan-offload: on
tx-vlan-offload: on
ntuple-filters: off
receive-hashing: off
generic-receive-offload 가 on 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오프로드 기능이 동작하여 패킷을 덤프할 시에 패킷의 사이즈가 다르게 보였던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한번 보시죠.
GRO 기능이 On 되어 있는 경우는 그림과 같이 패킷 사이즈가 2762, 4017, 3538 과 같이 MTU 값 이상으로 크게 나타납니다.
[그림] GRO 기능 On
그러나 gro 기능을 off 하고 패킷 캡쳐를 다시 해보면 패킷 데이터 전송크기가 1414로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 ethtool -K eth0 gro off
# ethtool -k eth0
Offload parameters for eth0:
rx-checksumming: on
tx-checksumming: off
scatter-gather: off
tcp-segmentation-offload: off
udp-fragmentation-offload: off
generic-segmentation-offload: off
generic-receive-offload: off
large-receive-offload: off
rx-vlan-offload: on
tx-vlan-offload: on
ntuple-filters: off
receive-hashing: off
[그림] GRO 기능 off
네트워크 어뎁터에서 처리해 주었기 때문에, 패킷 캡쳐 프로그램에서는 크기가 큰 패킷 사이즈를 볼 수 있었던 것입니다.
MTU 보다 패킷 크기가 크게 나왔던 이유가 바로 오프로드 기능이 있었던 것이었죠.
좀더 많은 내용은 다음 '참고'를 확인해 보세요.
[참고]
1. 점보프레임(Jumbo Frame)으로 전송속도 높이기
http://www.packetinside.com/2012/03/jumbo-frame.html
2. Ethtool 을 통해 네트워크 카드(NIC) 정보 확인 또는 설정하기
http://www.packetinside.com/2012/04/ethtool-nic.html
3.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버 설정 정보 보기 (TOE, 점보프레임등 확인)
http://www.packetinside.com/2012/05/toe.html
4. 패킷 전송 크기를 지정하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알아봅시다!
http://www.packetinside.com/2013/02/mtumaximum-transmission-unit.html
MTU 보다 패킷 크기가 크게 나왔던 이유가 바로 오프로드 기능이 있었던 것이었죠.
좀더 많은 내용은 다음 '참고'를 확인해 보세요.
[참고]
1. 점보프레임(Jumbo Frame)으로 전송속도 높이기
http://www.packetinside.com/2012/03/jumbo-frame.html
2. Ethtool 을 통해 네트워크 카드(NIC) 정보 확인 또는 설정하기
http://www.packetinside.com/2012/04/ethtool-nic.html
3.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버 설정 정보 보기 (TOE, 점보프레임등 확인)
http://www.packetinside.com/2012/05/toe.html
4. 패킷 전송 크기를 지정하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알아봅시다!
http://www.packetinside.com/2013/02/mtumaximum-transmission-unit.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